아키텍쳐
-
MIPS, Memory Operands and Constant(Immediate) Operands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and Organization 2021. 4. 4. 16:25
Memory Operands 위의 예시에서는 간단한 더하기 빼기였지만, 실제 프로그래밍에서는 훨씬더 복잡한 컨셉이 등장한다. 예를들어 Array, Tree, Linked List 또는 Map과 같은 것들이다. 어떻게 컴퓨터는 이런 큰 Data Structure를 접근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 프로세서는 아주 작은 양의 데이터를 registers에 보관할 수 있는데, 컴퓨터의 메모리는 수십GB부터 수TB까지, 더 큰 컴퓨터는 그 이상의 방대한 양의 정보가 저장되어있고 처리를 기다리고 있다. 위에서 말했든, Arithmetic Operations(사칙연산)들은 MIPS instructions에서는 오직 프로세서의 registers에서만 처리될 수 있고, 그렇기때문에 MIPS는 registers와 memory간..
-
컴퓨터 아키텍처를 발전시킨 위대한 아이디어: 무어의 법칙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and Organization 2021. 3. 14. 00:42
컴퓨터의 탄생 이래로 컴퓨터 아키텍처에는 수많은 변화가 있었다. 컴퓨터를 진화시킨 기술은 수없이 많지만, 그중 무어의 법칙에 대해 간략하게 짚어본다. 무어의 법칙 (Moore's Law) 무어(Gordon Moore) Intel의 창립자중의 한명이며, 컴퓨터 아키텍쳐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무어의 법칙을 만든 사람이다. 이는 매 2년 (18 - 24달)마다 반도체의 성능이 2배씩 증가한다는것 인데, 불과 10년까지만 해도 이 법칙에 따라, 거의 모든 반도체 회사(Intel, Samsung 등)은 반도체에 더 많은 집적 회로를 넣는것에 집중해서 발전시켜왔다. 하나의 컴퓨터 모델을 만드는데는 몇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칩에 필요한 리소스들이 2배 또는 4배, 그이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같은..